-
무주택자가 주택을 마련하기 위해 저축하는 청약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집을 사고 싶은 사람들이 미리 꾸준하게 저축하면서 세금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유용한 제도입니다.
주택마련저축 공제 요건이 복잡하고 자주 변경되는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에 대해서 꼼꼼하게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주택마련저축 공제 요건
▶ 총급여액 7천만 원 이하
▶ 12월31일현재 주택을 소유하지 아니한 세대의 세대주
- 세대원은 공제 대상이 아님
- 세대원을 포함하여 2 주택 이상 또는 국민주택규모 초과 주택을 보유한 경우 공제 불가능
▶ 본인 명의로 주택마련저축 가입
- 배우자가 가입한 저축은 공제 불가능
주택마련저축 종류별 불입액 요건
▶ 청약저축 : 연 납입액 300만 원 이하
▶ 주택청약종합저축 : 연 납입액 300만 원 이하
▶ 근로자주택마련저축 : 월 납입액 15만 원 이하
청약저축 공제 조건
▶ 근로자 본인 명의로 가입
▶ 2009.12.31. 이전 가입분은 기준시가 3억 원 이하의 국민주택규모의 1 주택 소유자도 공제 가능
주택청약종합저축 공제 조건
▶ 무주택 확인서 : 2025년 2월 말까지 저축취급기관에 제출해야 공제 가능
▶ 무주택확인서 발급 : 정부24에서 "세목별 과세증명" 또는 "미과세증명"을 검색 >> "주택소유 여부 확인" 선택하여 출력
공제금액 한도
▶ 공제금액은 주택마련저축 납입액의 40%
공제금액 ▶ 한도 :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소득공제와 합하여 400만 원을 한도로 한다.
공제한도금액 주택마련저축 중도해지 시 추징세액
▶ 소득공제를 받은 금융상품을 대해 추징기간내에 상품을 해지할 경우 해지가산세 부과
금융상품별 해지추징세액 ▶2013.3.1. 이후 가입한 연금저축계좌의 경우 5년 이내 해지하더라고 해지가산세 부과되지 않음.
'연말정산 202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연말정산 공제요건 총정리 (0) 2024.12.30 연말정산 전세대출(주택임차차입금) 소득공제 조건 필요서류(금융기관, 타인 대출) (0) 2024.12.30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필요서류 공제한도 (0) 2024.12.29 연말정산 배우자 공제 소득 조건 공제 가능 항목 총정리 (0) 2024.12.28 연말정산 인적공제(기본공제, 추가공제) 공제대상 요건 (0) 2024.12.27